천문노트에서 작게 독서모임을 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으로요. 그래서 독서모임 때 해야 할 이야기나 토론의 형식들을 간단히 정리해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가 바뀔지 모른다는 거죠~?ㅋㅋ 아무튼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1. 사회자(혹은 발제자)가 자신이 책을 고른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함.
- 책에 대한 간단한 소개, 저자의 정보, 책을 고른 이유 등 책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이야기해줌.
2. 책의 큰 주제별로 나누어 돌아가면서 줄거리(혹은 주제)를 설명함.
3. 이후 자신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와닿은 이야기 혹은 관심이 있는 주제(논제)에 대한 구절을 소개함.
- 왜 이런 구절 혹은 주제(논제)가 좋은지 서로 이야기를 해본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생각이 비슷함과 동시에 다름을 느끼고 나눌 수 있다.
4. 각자 생각한 토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중 토론할 주제 몇 개를 선정
- 천문노트에서 읽고 토론할 책은 민감한 이슈를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토론이 한 쪽으로 쏠리거나 말꼬리잡기 등으로 길어지고 집중도가 떨어지는 일은 별로 없을 것 같다. 문학적, 기술적, 사회적 혹은 개인적 토론의 주제.... 토론이라는 말이 좀 딱딱한가? 수다를 떨 주제를 모두 모은 뒤에 되도록 많은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예를 들면 칼 세이건의 <에필로그>라는 책을 읽고 난 뒤에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리의 자세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도 있고, 우주의 경이로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다. 혹은 칼 세이건의 멋진 인생에 대해 이야기하자고 할 수도 있겠다. 우리는 지구온난화의 전문가도 아니고 모두가 천문학을 전공했을리도 없다. 그러므로 학술적 혹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야기를 하기 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의 생각과 말로 우리의 주제를 통해 과학이나 사회의 큰 그림을 그리고 방향을 찾아가면서 경이로움과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실 전문가들끼리 모여서 독서토론하면 그게 독서토론인가. 연구실 스터디 혹은 Journal club이겠지.
아. 그리고 다양한 주제와 목적으로 토론하는 경우가 많을테니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 노트북으로 사회자는 필요할 경우 검색신공을 쓰는 것도 생각중이다.. 위키피디아와 구글링이면 사실 어지간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영어를 잘해야 하는 부담은 여전하다. 대부분 양질의 검색결과들이 영문이므로..ㅠ)
5. 서로 토론한 내용이 어떤 결론으로 귀결되면 토론을 정리한다.
-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에 공감하고 동의했는지, 어떤 이야기의 충돌이 있었고 해결이 되었는지 등을 모두가 의논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이유는 서로 어떻게 이야기를 나누었고 다른 생각들은 무엇이었는지 되돌아보기 위해서이다. 물론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리더의 부담도 있지만 말이다.
6. 다음에 읽을 책을 정한다.
- 보통 우리의 목적과 처음에 모임을 운영하려는 방향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제안하는 모든 책을 다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훌륭한 천문학 교양도서가 딱히 떠오르지 않아 다들 제안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을 것이다. 사회자가 매번 다음에 읽을 책을 두어권 정도 정해서 온 뒤에 사람들과 간단한 대화로 책을 결정한다.
7. 뒷풀이
- 독서모임을 열심히 나오는 회원이 있다거나 책을 깊이있게 읽어서 토론에 많은 기여를 하고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었다거나 등등... 으로 해서 커피값 정도를 천문노트에서 대신 내주는 것으로 매번 시상을 하는것도...?
뒷풀이는 간단히 저녁밥을 먹으면 좋겠다. 다들 이야기하느라 고생했을테니...
서평은 각자 언제 써보는게 좋을까??
도움이 될만한 링크들
1. [딜레탕트] 독서·문학, 지적 즐거움에 중독되다. 여기
2. 책의 큰 주제별로 나누어 돌아가면서 줄거리(혹은 주제)를 설명함.
3. 이후 자신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와닿은 이야기 혹은 관심이 있는 주제(논제)에 대한 구절을 소개함.
- 왜 이런 구절 혹은 주제(논제)가 좋은지 서로 이야기를 해본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생각이 비슷함과 동시에 다름을 느끼고 나눌 수 있다.
4. 각자 생각한 토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중 토론할 주제 몇 개를 선정
- 천문노트에서 읽고 토론할 책은 민감한 이슈를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토론이 한 쪽으로 쏠리거나 말꼬리잡기 등으로 길어지고 집중도가 떨어지는 일은 별로 없을 것 같다. 문학적, 기술적, 사회적 혹은 개인적 토론의 주제.... 토론이라는 말이 좀 딱딱한가? 수다를 떨 주제를 모두 모은 뒤에 되도록 많은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예를 들면 칼 세이건의 <에필로그>라는 책을 읽고 난 뒤에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리의 자세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도 있고, 우주의 경이로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다. 혹은 칼 세이건의 멋진 인생에 대해 이야기하자고 할 수도 있겠다. 우리는 지구온난화의 전문가도 아니고 모두가 천문학을 전공했을리도 없다. 그러므로 학술적 혹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야기를 하기 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의 생각과 말로 우리의 주제를 통해 과학이나 사회의 큰 그림을 그리고 방향을 찾아가면서 경이로움과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실 전문가들끼리 모여서 독서토론하면 그게 독서토론인가. 연구실 스터디 혹은 Journal club이겠지.
아. 그리고 다양한 주제와 목적으로 토론하는 경우가 많을테니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 노트북으로 사회자는 필요할 경우 검색신공을 쓰는 것도 생각중이다.. 위키피디아와 구글링이면 사실 어지간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영어를 잘해야 하는 부담은 여전하다. 대부분 양질의 검색결과들이 영문이므로..ㅠ)
5. 서로 토론한 내용이 어떤 결론으로 귀결되면 토론을 정리한다.
-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에 공감하고 동의했는지, 어떤 이야기의 충돌이 있었고 해결이 되었는지 등을 모두가 의논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이유는 서로 어떻게 이야기를 나누었고 다른 생각들은 무엇이었는지 되돌아보기 위해서이다. 물론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리더의 부담도 있지만 말이다.
6. 다음에 읽을 책을 정한다.
- 보통 우리의 목적과 처음에 모임을 운영하려는 방향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제안하는 모든 책을 다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훌륭한 천문학 교양도서가 딱히 떠오르지 않아 다들 제안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을 것이다. 사회자가 매번 다음에 읽을 책을 두어권 정도 정해서 온 뒤에 사람들과 간단한 대화로 책을 결정한다.
7. 뒷풀이
- 독서모임을 열심히 나오는 회원이 있다거나 책을 깊이있게 읽어서 토론에 많은 기여를 하고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었다거나 등등... 으로 해서 커피값 정도를 천문노트에서 대신 내주는 것으로 매번 시상을 하는것도...?
뒷풀이는 간단히 저녁밥을 먹으면 좋겠다. 다들 이야기하느라 고생했을테니...
서평은 각자 언제 써보는게 좋을까??
도움이 될만한 링크들
1. [딜레탕트] 독서·문학, 지적 즐거움에 중독되다. 여기